본문 바로가기
예술

미술 예술의 집합, 보스턴 미술관과 시카고 미술관 등

by 차가운 여우 2022. 10. 17.

미술관
길거리 화가

1. 보스턴 미술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위치한 미술관인 보스턴 미술관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시카고의 시카고 미술관과 함께 미국의 3대 미술관입니다. 1870년에 설립되고, 미국 독립 100주년이 되는 1876년에 개관하였으나, 1909년에는 헌팅턴 애비뉴로 이전하였습니다. 왕실이나 대부호의 수집품들을 전시한 다른 미술관과는 달리, 작품이 없는 상태에서 민간 조직으로 설립 및 운영되어 왔습니다. 이는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비슷한 점입니다. 소장품은 50여만점, 주로 이집트 미술품 또는 프랑스 인상주의 작품에 특히 충실한 보스턴 미술관은 많은 여행자가 보스턴 여행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라 손꼽는 곳입니다. 특히, 이집트 작품은 북미 최고 수준이고, 이집트의 미라 전시실은 대대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에 있는 주요한 미술관들 사이에서는 역사가 짧지만, 수준 높고 방대한 전시물들을 소장하고 있어서 작품들을 통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미술사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스턴 미술관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당연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 고흐, 모네, 고갱 등의 작품입니다. 인상파 이후의 유럽 근대 작품인 '일본 옷을 입은 여인', '우리는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등이 유명합니다. 다만, 미술관의 규모가 매우 커서 전부 둘러보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미리 팸플릿과 지도를 파악하여 동선을 정하고 이동하며 관람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 시카고 미술관

미국의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시카고 미술관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3대 미술관 중 하나로, 1983년 개관하고 1879년 아카데미에서 1882년 미술관이 되었습니다. 정면 입구에 있는 사자들이 인상적인 시카고 미술관은 우리나라에서는 시카고 현대 미술관 또는 시카고 미술 연구소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고대에서 현대에까지 각 지역과 시대의 미술품을 소장하는 시카고 미술관에는 수십 개의 전시실에서 프랑스 인상파와 후기 인상파 거장들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렘브란트, 밀레, 르누아르, 쇠라 등의 작품뿐만 아니라, 조각과 판화, 미라와 사진 등 약 30만 점에 이르는 여러 작품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또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활발히 활동했던 작가들인 '제임스 애벗 맥네일 휘슬러'와 '윈슬로 호머' 등의 미국 작품이 주로 전시되고, 실험적인 현대미술까지도 다양하게 작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관람객이 연 160여만 명에 이를 정도로 많은 사람이 찾고 있는 시카고 미술관은, 볼거리가 다양한 만큼 휴식 공간도 잘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더불어 터치 갤러리라고 하여 작품을 직접 만지고 느껴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3.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미국 뉴욕주 뉴욕 맨해튼 어퍼 이스트 사이드에 자리한 세계적인 미술관인 메트로폴리탄 미술 박물관은 1866년 파리에서 미국 독립기념일을 기념하고 축하하기 위해 모인 미국인들의 제안으로 1870년 소규모로 개관하였습니다. 300여만 점의 회화와 조각, 공예품, 사진 등이 소장되어 있고, 기금을 통해 구입한 것과 기증 등으로 소장 미술품이 급증가하여진 것으로 봅니다. 1970년, 창립 100주년에 시작된 개조 계획으로 미술관의 건평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또, 포트라이언 파크의 분관인 클로이스터스는 중세 유럽의 미술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소장 유물의 폭이 전 시대와 전 지역에 걸쳐있다는 특색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미술관이 순수하게 민간인들이 주도하여 설립하였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배경은 중앙 공원으로, 뉴욕의 명소 중 하나입니다. 뉴욕시에서 세련되어 이름난 거리 제5번가를 향해 동향에 자리 잡았고, 전체 건물이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은 것은 1995년 미술관 내부에 '이집트의 덴두어 사원'을 포함한 때로써, 이 건물이 미국의 근대와 현대 건축사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는 전체 공간의 반 정도에 자연 채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한국 미술실이 존재합니다. '통풍공'이 전시실과 연결되어 독특하게도 통일된 공간을 마련하였고, 이는 갤러리 내부에 여과된 빛이 은은하게 내리비쳐 멋진 장관을 이룹니다. 이를 이루는 데는 우규승 씨가 건축을 지휘하는데, 그는 한국 건축의 형태를 직접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적 정서와 미적 감각을 창출해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진열된 미술 작품들이 잘 돋보이도록 다른 건축적 요소들을 최대한 자제하였다고 합니다. 1998년, 전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한국의 미술품만 전시가 되는 한국 미술실이 개관 기념식은 국내외 언론에 소개되면 이슈를 이룬 바 있습니다. 타이틀은 '한국 문화의 보석 상자'입니다. 미국 3대 미술관에 한국만의 미술실이 있다는 것이 참 영광스럽습니다. 그 배경에는 삼성 문화재단의 재정적 뒷받침과 한국 국제교류재단의 화합이 절대적이었습니다. 또한, 한국 미술 프로그램의 시작에는 미국의 '프러스페로 재단'이 지원하고, LG의 뉴욕 법인도 부분적 지원을 하였다고 알려졌습니다.

소장품 중 대표작은 빈센트 반 고흐의 '해바라기'가 유명하고, 이 밖에 고흐의 또 다른 작품 '화병의 꽃다발'과, 알렉상드로 카바넬의 작품 ' 비너스의 탄생'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