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스트리트댄스의 세계로. 힙합댄스, 비보잉 그리고

by 차가운 여우 2022. 10. 18.

힙합댄스
힙합댄스

1. 스트리트댄스

1960년대 이후, 순수무용이라 하는 발레, 전통무용, 현대무용 등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은 대중문화를 기반으로 한 춤을 스트리트댄스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팝핑', '락킹', '왁킹', '힙합', '하우징', '비보잉', '크럼프' 등 올드 스쿨 장르와 뉴스쿨 장르만을 가리킵니다. 단어로만 해석하여 길거리에서만 추는 춤이 아니라, 파티나 공연장 등에서도 많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스트리트 문화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 모든 형태의 춤을 일컫는다고 해도 좋습니다. 현재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스트리트댄스는 대부분 1900년대 후반, 미국 스트리트 문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습니다. 여기서 스트리트 문화란 도시에서 자란 젊은이들 사이에서 공통된 생활양식과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수무용에서는 무용가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중시되는 데 비하여, 스트리트 댄스는 즉흥적으로 음악적 요소를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시됩니다. 이러한 즉흥성이 가장 극대화된 형태가 오늘날의 배틀입니다. 유명한 스트리트 대회에는 UK 비보이 챔피언십, 올드 스쿨 나잇 등이 있고, 이는 비보잉으로부터 영향받아 다른 장르까지 확산이 된 배틀 문화로, 양측이 서로 이기기 위해서 전투적으로 댄스의 기량을 겨룹니다.

2. 비보잉

미국의 힙합 댄스를 특징짓는 춤으로 비보잉 또는 브레이킹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원래 이름인 비보잉을 선호하고, 브레이크댄스라는 말은 1980년대 중반에 언론을 통해 알려진 용어입니다. 뜨거운 댄스 열풍에 힘과 함께 인정받아 2024년 하계 올림픽에도 공식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비보잉 활동으로 유명한 분들은 진조 크루가 대표적일 것이고, 그 밖에도 엠비 크루, 라스트 포 원, 겜블러 크루, 소울번즈, 익스트림, 프로젝트 소울, 오샤레 크루, 세컨드 플레이스, 퓨전 엠씨, 티아이피, 드리프터즈, 리버스 등이 있습니다.

2-(1) 프리즈

순간적으로 동작을 멈추는 것을 프리즈라고 합니다.

2-(2) 다운락

바닥에 손을 대고 스텝을 밟으며 풋워크라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2-(3) 탑락

서서 비트에 맞춰 스텝을 밟는 것을 탑락이라고 하는데, 본인만의 기술로 스텝을 창조하여 자신의 스타일로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렇기에 본인 외의 다른 이에게 가르치기에는 어렵습니다.

2-(4) 파워무브

비보잉이라고 했을 때 먼저 생각할 수 있고, 원심력을 이용한 가장 격렬한 움직임을 파워무브라고 합니다.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윈드밀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체조 또는 무술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비보잉에 접목한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3. 힙합 댄스

힙합 댄스는 일반적으로 힙합 음악에 몸을 실어 춤을 추는 스트리트댄스로써, 다양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레이킹' 뿐만 아니라 '크럼핑', '락킹', '팝핀' 등의 여러 기술들을 포함합니다. 힙합이 90년대 미국 대중음악의 하나의 축을 세웠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생기있고 활발하게 움직인다는 뜻을 갖고, 삶의 양식을 조합해 뉴 스타일을 만들어 내는 힙합은, 초기에는 재즈, 레게, 팝 등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블록 파티에서 즉흥적으로 춤을 추는 데 사용하다가, 디제이로부터 분화되고, 래퍼까지 탄생하게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

3-(1) 락킹

펑키함을 특징으로 가진 락킹은, LA 나이트클럽에서 만든 락에 즉흥적인 스텝을 얹은 형태의 한 예술이라고 합니다. 이 춤의 기본은 멈춤인데, 몸에 힘을 주어 어떠한 포즈를 나타내고 그대로 정지합니다.

기본동작으로는 펀치, 포인트, 머슬 맨, 락 포지션, 손뼉 치기, 리스트 롤이 있고, 응용으로 스쿠밧, 니드랍, 스플릿 등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락킹을 대표하는 팀으로는 싸나이즈, 오리지날리티, 롤링 핸즈 등이 있습니다.

3-(2) 크럼핑

미국의 흑인 댄스의 한 형태인 크럼핑은 에너지가 매우 강하게 표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트리트 맨 파이터를 통해 더욱더 유명해진 프라임킹즈 크루의 주력 댄스가 크럼핑입니다. 그들만 봐서도 얼마나 역동적이고 힘이 넘치는 댄스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공격성과 분노의 표출을 춤에 녹이고자 개발되었다는 설로 있을 만큼, 과장되거나 폭력적인 움직임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3-(3) 팝핀

일반적으로 근육의 빠른 이완과 수축을 활용하여 힘을 조절해 행해지는 '팝'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팝핀은, 몸이 튀는 듯한 느낌으로 음악을 표현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팝핀보다 '각기'라고 알려져 있었고, 힙합을 잘 추기 위해 팝핀을 배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팝핀 댄서로 알려진 팝핀현준과 위너스 크루 들을 통해, 대한민국에도 팝핀의 열풍이 불면서 팝핀의 이름이 자리를 잡았고, 일반 사람들에게까지 접근이 쉬워졌습니다. 동작에는 바이브레이션, 애니메이션, 플로팅, 슬로우 모션, 워크아웃, 플렉스 등이 있습니다.